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SPAC주

미국 SPAC(스팩)주 용어 정리

by 미스터 마켓 2021. 11. 21.
728x90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SPAC(스팩) 이해에 필요한 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1. SPAC(스팩)은 무엇일까?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자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기업인수목적회사’입니다.

SPAC(스팩)은 주식을 공모 및 상장하여 투자자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으로 비상장기업을 인수합병하여 우회상장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2. SPAC(스팩) 회사에 대해 공부할 필요가 있을까?

합병을 진행하는 주체인 비상장기업에 대해 반드시 공부해야 합니다. 해당 회사가 무슨 사업을 통해 수익을 내는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해당 스팩을 이끄는 대표의 이력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팩을 이끄는 대표가 금융/투자업계에서 큰손일수록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과 합병하여 상장에 성공할 확률이 높습니다.

사례) 억만장자 투자자 빌 애크먼은 2012년에 ‘저스티스 홀딩스(SPAC)’을 통해 ‘버거킹’을 인수하여 성공적으로 상장시켰습니다. 그리고 2020년 9월에 ‘퍼싱스퀘어 탄틴 홀딩스(SPAC)’를 통해 ‘에어비앤비’에 우회상장을 제안했습니다.

 

 

 

 

 

3. SPAC(스팩) 공모가($10)에 매수했으나 합병에 실패해도 무조건 이득일까?

스팩이 만기 기간인 24개월 내에 합병에 실패할 경우에 $10.4까지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매수 시점부터 합병 실패의 기간까지 시간과 기회비용을 날리는 것이기 때문에 판단은 잘하셔야 합니다.

 

 

 

 

 

4. SPAC(스팩)에서 DA란 무엇일까?

DA는 ‘Definitive Agreement’ 약자로 확정계약 혹은 최종계약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DA발표를 통해 SPAC 회사와 인수합병될 회사 간 협상 내용, 지분비율 등과 대략적인 합병일자를 공시합니다.

 
 
 
 
 

5. SPAC(스팩)의 적정 매수시기와 매도시기는 언제일까?

스팩을 통해 인수합병에 성공하여 시장에 상장했어도 기관이나 기타매도금지 물량이 시장에 풀리는 날 주가가 잘 버텨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수 합병된 회사가 건실하지 못하다면 온라인에서 쓰는 표현처럼 주가가 상당히 크게 흘러내리는 하락을 맛볼 수 있습니다. 또한, 공모주 때 진입 혹은 저평가될 때 들어온 투자자들의 매도세를 버틸 수 있는 회사라면 합병 이후 주가 하락 없이 우상향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투자를 하고 싶으면 DA 이후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딘딘할 종목으로 생각이 된다면 합병일자인 SPAC의 티커가 변경되는 날 기준 3~5일 전부터 매도를 준비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6. DA 공시 후 풀매수는 어떨까?

DA가 발표됐다면 수 많은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이미 주가에 반영됐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관과 매도금지물량이 시장에 대량으로 풀리는 날 주가가 하락할 수 있으므로 해당 합병된 기업에 대한 분석이 반드시 동행되어야 합니다. DA 발표 이전에 후보 기업에 대한 분석을 미리 마친다면 DA 발표 이후 다른 투자자들보다 빠르게 저가 매수가 가능할 것입니다.

 

 

 

 

 

7. SPAC(스팩)의 장점은 무엇일까?

스팩의 주체가 되는 기업이 우량하다면 회사의 성장성과 미래가치가 매우 높을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스팩 회사의 주식을 저가에 매입해 큰 시세 차익을 실현할 수 있는 점이 장점입니다.

 

 

 

 

 

8. SPAC(스팩)의 단점은 무엇일까?

회사의 가치에 따라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의 폭이 매우 큽니다. 저가매수가 가능하지만 그만큼 손실을 크게 볼 수 있습니다.

 

 

 

 

 

9. SPAC(스팩) 뒤에 W가 붙는 것은 무엇일까?

W는 Warrant 주식으로 상승률이 보통주에 비해 높습니다. W가 붙은 스팩은 앱을 통한 매매가 아닌 증권사 유선을 통한 거래만 가능합니다. 한국에서의 ‘신주인수권’과 유사합니다.

신주인수권: 증자를 위하여 신주를 발행할 경우 우선적으로 주식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

 

 

 

 

10. SPAC(스팩) 뒤에 U가 붙는 것은 무엇일까?

U는 Unit 주식으로 보통주보다 가격이 높습니다. 스팩 U는 ‘W + 보통주’로 이해하면 됩니다.

스팩 U는 합병 이후 다시 W와 보통주로 분리됩니다. 그리고 W는 추후 신주인수권의 효과를 가집니다. 국내에서 W 주식을 매수하기 어려우므로 Unit 주식을 매수하여 향후에 ‘W + 보통주’로 가져가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11. SPAC(스팩)을 통해 상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기업공개 IPO(Initial Public Offering)를 통해 비상장기업이 외부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유치해 주식 시장에 최초로 상장하는 방법이 정석입니다. 다만, 이 방법은 검증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스팩을 통한 우회상장을 한다면 길고 복잡한 공모 과정이 단축되어 스타트업 혹은 인지도가 부족한 기업의 투자 유치가 용이하고 무엇보다 해당 기업의 합병을 이끄는 스팩 대표이사의 네임벨류를 통해 빠르게 상장할 수 있습니다.

 

 

 

 

 

12. SPAC(스팩)의 정보는 어디서 얻을까?

피인수합병될 회사의 정보와 DA루머 및 DA일정을 확인을 하면 됩니다.

1. https://spacinsider.com

2. https://stocktwits.com

3. https://www.reddit.com

4. https://finance.yahoo.com

728x90

'주식 이야기 > SPAC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AC/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 이란?  (0) 2021.11.21